안녕하세요. 며칠 전 제가 다니는 직장에서는 개개인의 PC에서 프린트를 할 수 있게끔 복합기를 구매하였는데요. 복합기와 내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내 컴퓨터의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등록하고 이런저런 절차를 거치는 과정이 너무 어렵게 느껴졌어요. 하지만 복합기를 설치 하시던 기사분의 친절한 도움으로 쉽게 마무리를 할 수 있었는데요. 오늘은 내 컴퓨터에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아이피에 대해 모르는 분들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이피는 외부/내부 아이피로 나뉘는데 외부아이피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주는 고유 인터넷 주소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내부아이피는 공유기를 통해 할당된 아이피라고 생각하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씀드리자면, 저와 같이 공유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시는 분들의 경우 외부아이피 -> 공유기 -> 내부아이피 부여 -> PC 라고 생각하시면 될듯요.
- 방법 1
먼저 제일 간단한 아이피 주소 확인법입니다.(참고로 포스팅 작성은 직장 컴퓨터가 아닌 제 컴퓨터로 작업을 하였습니다. 랜선이 아닌 공유기를 사용해 와이파이를 사용중임을 알려 드립니다.) 검색 사이트에 아이피 주소 라고 입력하게 될 경우 아이피 주소가 바로 화면에 보이게 되는데요.
덧붙여서 말씀드리면 한국인터넷 진흥원에 접속하게 될 경우 내 아이피 주소의 상세한 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고 아이피의 주소만 알고 있다면 해당 아이피 주소가 어느나라의 것인지도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시면 유용할 듯 하네요.
- 방법 2
앞서 말씀드린 방법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는 가정하에 내 아이피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이었는데요. 그렇다면, 지금 당장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 할때는 어떻게 내 아이피 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제 노트북의 사양의 win8입니다. 다른 버전에서도 화면의 구성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내 컴퓨터의 제어판 화면을 띄워보면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보이는데 이 중, 네트워크 및 인터넷의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를 클릭해 보겠습니다.
이 후 연결된 네트워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게 되는데 화면 중간에 보이는 자세히 버튼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wi-fi 상태에 대한 연결 세부 정보가 다양한 항목과 관련되어 확인 할 수 있게 되는데 IPv4 주소가 바로 확인하고자 하는 아이피 주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자면 제어판 ->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 네트워크 더블 클릭 -> wifi상태 창에서 자세히 버튼 클릭 -> IPv4 주소 확인 끝 의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그런데 IPv4는 도대체 무엇인가?
본래 아이피(IP : Internet Protocol)라는 시스템은 미국에서부터 사용하던 체계인데, 인터넷이 보급되던 초창기 시절부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주소라고 합니다. 현재까지는 IPv4라는 인터넷 주소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관련된 기술들이 급변하는 시대가 도래하게 되면서 PC뿐만이 아니라, 모바일, TV, 냉장고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물인터넷화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아이피의 갯수가 부족해 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등장한 것이 IPv6입니다. 기존의 IPv4보다 월등히 많은, 거의 무한대의 인터넷 주소를 늘려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숯 효능 5가지 및 관리 하는법 (0) | 2017.11.04 |
---|---|
오늘 수입 4,000원 인증 (0) | 2017.10.13 |
아파트 주소 영문 변환하기 (0) | 2017.10.09 |